: 메모리 공간이 작은 조각으로 나뉘어져 사용가능한 메모리가 충분히 존재하지만 할당이 불가능한 상태
내부 단편화
: 메모리를 할당할 때 프로세스가 필요한 양보다 더 큰 메모리가 할당되어서 프로세스에서 사용하는 메모리 공간이 낭비되는 상황.
ex) 할당을 요구하는 프로세스는 1kb만 필요하지만 운영체제가 4kb를 할당해 주었다면 내부단편화가 3kb 발생한 것

외부 단편화
: 메모리가 할당되고 해제되는 작업이 반복될 때 작은 메모리가 중간중간 존재하게 된다. 이 때 중간중간에 생긴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가 많이 존재해서 총 메모리 공간은 충분하지만 실제로 할당할 수 없는 상황.
ex) 20kb의 공간중 5kb, 8kb 5kb의 세 프로세스가 할당을 받았는데 5kb의 두 프로세스가 메모리 할당을 해제하게 되면 메모리는 10kb가 비게 되지만 가운데에 8kb 메모리 영역을 사용 중이기때문에 5kb를 넘는 메모리를 할당할 수 없게된다.

'컴퓨터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마이크로 서비스 (0) | 2024.06.04 |
|---|---|
| lazy initialize(지연 초기화, 게으른 초기화) (0) | 2024.05.01 |
| Caching(캐싱) (0) | 2023.10.01 |
| CPU bound & GPU bound (0) | 2023.09.29 |
| SIMD(Single Instruction Multi Data) (0) | 2023.09.28 |